영화와 텔레비전은 사실주의적인 요구에 완벽하게 부응할 것이다. 그 무언가에 대한 갈증이 점점 심해진다고 느낄 때, 사람들은 비로소 본질적으로 시적인 매체인 연극에 의지할 것이다. 연극이라는 특별한 예술 형태에는 배우–시인이 필요하다. 그 이유가 아니라면 우리가 왜 극장에 가겠는가? 체홉의 작업—그는 그것을 쉽사리 시스템이라고 부르지 못했다—이 중요한 이유는 그의 목표가 배우–시인이라는 인간형을 성장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체홉의 방법론이 갖는 아름다움은 가장 단순한 도구들을 이용해서 배우의 창작활동에 직접적인 길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자기 스스로 창조성이 부족한 것에 대해 불안해했고, 체홉이 말한 ‘영감’에서 나온 연기는 극히 소수의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만 가능하며, 신중하고 이성적인 방법론에 보상이 뒤따라온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이제 체홉의 연기 본능의 천진함에 대한 믿음으로 대체되었다. 체홉은 이런 천진함이 간섭 받지만 않는다면, 인간의 경험 중에서 오직 상상력만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으로 날아오르게 될 거라고 확신했다. 체홉의 방법론을 사용한다고 해서 반드시 위대한 배우가 된다고 단언할 수는 없겠지만, 당신은 ‘예술가’로서 연기에 접근하는 배우가 될 것이다.
1. 배우의 신체와 심리
2. 이미지의 통합과 상상
3. 즉흥과 앙상블
4. 분위기와 개인의 느낌
5. 심리 제스처
6. 인물과 성격 부여
7. 창조적 개성
8. 공연의 구성
9. 공연의 유형
10. 역할에 접근하는 방법
11. 즉흥의 예시
12. 맺는말
김 선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부 졸업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Program in Film and Video, MFA(실무 석사) 졸업
Great Lakes Michael Chekhov Consortium 미하일 체홉 연기 테크닉 강사 자격증 수료
현재, 엠(M.)체홉 스튜디오 대표 강사
문혜인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전문사 재학